
안녕하세요! 채채쌤입니다.
학점은행제는 매달 개강반에 맞추어 시작할 수 있기에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오늘은 학기의 구분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목차]
1. 학점은행제 학기 구분
2. 학점은행제 학기 활용 방법
3. 학기를 겹쳐서 수강해도 될까?
1. 학점은행제 학기 구분
학점은행제는 개강하는 날짜에 따라 학기가 구분됩니다.
수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에 인가받은
정식 교육원에서수강신청을 진행하실텐데요,
이때 나는 1학기부터 시작하는지, 2학기부터 시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원마다 개강 날짜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 1학기: 11월 말 - 5월 초
- 2학기: 5월 말 - 11월 초
1학기는 5월 초를 중점으로 개강반이 마감되며,
2학기는 11월 초를 중점으로 개강반이 마감됩니다.
만약, 5월 20일쯤 수강을 시작해야겠다 하신다면,
1학기 개강반으로는 들어가실 수 없는 것이죠.
1) 제도 자체의 학기 구분

학점은행제 제도에서 학기를 구분해 놓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학위수여]가 2월말/ 8월말로 1년에 딱 2번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종강일 기준으로 하여 1학기는 3월 - 8월/ 2학기는 9월 -2월로 정해져있죠!
위의 학기구분은 이미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급의 종강일 기준이기에
저희는 개강일 기준으로 5월초와 11월초를 생각하면 됩니다!
2. 학점은행제 학기 활용
그러면 2학기부터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 네. 괜찮습니다. "
학점은행제는 일반 대학처럼 학년에 맞추어 정해진 커리큘럼이 없습니다.
오로지 학점제로 운영되어 학년에 맞는 수업들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전문학사 기준]
전공 | 교양 | 일반 | 총 |
45학점 이상 | 15학점 이상 | 20학점 이하 | 80학점 |
학점제란, 나에게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하면 학위를 발급받는 개념인데요.
2년제 학력 전문학사 기준으로, 조건에 맞추어
총 80학점을 이수하면 학위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해진 커리큘럼이 없기에 학점 취득 규정에 맞추어 필요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
1) 주의사항 - 연간이수제한법
※ 학점 취득 규정: 온라인 강의는 1학기 최대 24학점/ 1년 최대 42학점 수강 가능
위와 같은 연간이수제한법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2학기부터 수강을 하시는 분들은 1학기 최대 24학점을 지켜야 합니다.
25-1학기 | 25-2학기 | 26-1학기 | 26-2학기 | 총 |
24학점 | 18학점 | 24학점 | 18학점 | 84학점 |
X | 24학점 | 24학점 | 18학점 | 66학점 |
→ 이와 같이 언제 시작하여도 무관하지만, 학위취득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5년도 2학기에서 26년도 1학기는 중간에 해가 교체되며, 1년 최대 42학점에 걸리지 X
2) 학기 활용 방법
25년도 1학기 + 25년도 2학기: 42학점 취득
25년도 2학기 + 26년도 1학기: 48학점 취득
두학기 과정으로, 강의를 최대한 많이 들으며 자격증과 독학사를
병행하여 학점을 취득하시려는 분들께는 2학기 시작이 좋을 수 있습니다.
3. 학기를 겹쳐서 수강해도 될까요 ?
" 네. 가능합니다. "
[1학기 개강반]

[2학기 개강반]

만약, 편입을 준비하고 있거나 교육대학원을 준비하고 있으시다면
원서접수 기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1학기 종강 후 2학기 수강시,
학점인정신청이 불가능한 기간이라 지원자격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 이러한 불상사는, 학기를 겹쳐서 수강하는 것으로 막을 수 있는데요 !
한번에 많은 과목들을 챙겨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빠르게 끝내고 싶어하시는 분들에게는 이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강의를 수강한 이후에는 학습자등록, 학점인정신청, 학위신청을 하셔야
정상적으로 학위를 발급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이처럼 학점은행제는 일반 대학교와 차이점이 많아서,
한 학기에서 연간이수 제한 규정을 지키지 못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이 글을 확인하시는 학습자님께서는 위와 같은 내용들을 정확히 파악하신 후
목표하시는 바를 이루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채쌤입니다.
학점은행제는 매달 개강반에 맞추어 시작할 수 있기에
언제 시작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요.
오늘은 학기의 구분과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을지 딱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목차]
1. 학점은행제 학기 구분
2. 학점은행제 학기 활용 방법
3. 학기를 겹쳐서 수강해도 될까?
1. 학점은행제 학기 구분
학점은행제는 개강하는 날짜에 따라 학기가 구분됩니다.
수강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에 인가받은
정식 교육원에서수강신청을 진행하실텐데요,
이때 나는 1학기부터 시작하는지, 2학기부터 시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원마다 개강 날짜는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 1학기: 11월 말 - 5월 초
- 2학기: 5월 말 - 11월 초
1학기는 5월 초를 중점으로 개강반이 마감되며,
2학기는 11월 초를 중점으로 개강반이 마감됩니다.
만약, 5월 20일쯤 수강을 시작해야겠다 하신다면,
1학기 개강반으로는 들어가실 수 없는 것이죠.
1) 제도 자체의 학기 구분
학점은행제 제도에서 학기를 구분해 놓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학위수여]가 2월말/ 8월말로 1년에 딱 2번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기에 종강일 기준으로 하여 1학기는 3월 - 8월/ 2학기는 9월 -2월로 정해져있죠!
위의 학기구분은 이미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급의 종강일 기준이기에
저희는 개강일 기준으로 5월초와 11월초를 생각하면 됩니다!
2. 학점은행제 학기 활용
그러면 2학기부터 시작해도 괜찮을까요?
" 네. 괜찮습니다. "
학점은행제는 일반 대학처럼 학년에 맞추어 정해진 커리큘럼이 없습니다.
오로지 학점제로 운영되어 학년에 맞는 수업들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전문학사 기준]
학점제란, 나에게 필요한 학점을 모두 취득하면 학위를 발급받는 개념인데요.
2년제 학력 전문학사 기준으로, 조건에 맞추어
총 80학점을 이수하면 학위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정해진 커리큘럼이 없기에 학점 취득 규정에 맞추어 필요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
1) 주의사항 - 연간이수제한법
※ 학점 취득 규정: 온라인 강의는 1학기 최대 24학점/ 1년 최대 42학점 수강 가능
위와 같은 연간이수제한법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2학기부터 수강을 하시는 분들은 1학기 최대 24학점을 지켜야 합니다.
→ 이와 같이 언제 시작하여도 무관하지만, 학위취득 시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25년도 2학기에서 26년도 1학기는 중간에 해가 교체되며, 1년 최대 42학점에 걸리지 X
2) 학기 활용 방법
25년도 1학기 + 25년도 2학기: 42학점 취득
25년도 2학기 + 26년도 1학기: 48학점 취득
두학기 과정으로, 강의를 최대한 많이 들으며 자격증과 독학사를
병행하여 학점을 취득하시려는 분들께는 2학기 시작이 좋을 수 있습니다.
3. 학기를 겹쳐서 수강해도 될까요 ?
" 네. 가능합니다. "
[1학기 개강반]
[2학기 개강반]
만약, 편입을 준비하고 있거나 교육대학원을 준비하고 있으시다면
원서접수 기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1학기 종강 후 2학기 수강시,
학점인정신청이 불가능한 기간이라 지원자격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 이러한 불상사는, 학기를 겹쳐서 수강하는 것으로 막을 수 있는데요 !
한번에 많은 과목들을 챙겨야 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빠르게 끝내고 싶어하시는 분들에게는 이점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강의를 수강한 이후에는 학습자등록, 학점인정신청, 학위신청을 하셔야
정상적으로 학위를 발급받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이처럼 학점은행제는 일반 대학교와 차이점이 많아서,
한 학기에서 연간이수 제한 규정을 지키지 못한 사례들이 많습니다.
이 글을 확인하시는 학습자님께서는 위와 같은 내용들을 정확히 파악하신 후
목표하시는 바를 이루셨으면 좋겠습니다. :)